[3GPP] EPC(Evolved Packet Core) 란
2021. 5. 27. 14:19개요
3GPP용어인 EPC와 EPS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.
요약
EPC는 (All-IP화 된 패킷 기반의) LTE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말입니다. (일종의 시스템 집합체)
EPS는 LTE 서비스를 위해 설치되는 시스템들을 말합니다.
배경
출처 : https://www.3gpp.org/technologies/keywords-acronyms/100-the-evolved-packet-core
EPC는 LTE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에 해당합니다.
이것은 코너 네트워크의 아키텍쳐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.
이것은 그것의 키 요소의 몇몇개를 설명해들 것입니다.
EPC는 3GPP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가장 최신의 진화, 혁명입니다.
GSM에서는 그 아키텍쳐가 CS에 의존했습니다. 이것은 회로들이 calling 혹은 called 된 party들 사이에
설립이 되었습니다. 바로 통신 네트워크, 즉 radio, 모바일 사업자의 코어네트워크, fixed network 이렇게 3가지 정도를 통해서 말이죠. GSM에서 모든 서비스들은 회선 스위치(circuite-swithces) 전화 통신을 통해 주로 전송됩니다. 하지만 SMS(Short Messages) 그리고 데이터들도 또한 표시됩니다.
GPRS에서 PS는 CS에 추가되었습니다. 이 기술을 가지고 데이터는 패킷안에 전송이 됩니다. 바로 전용 회로를 구축하지 않고 말이죠. 이것은 좀더 나은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공합니다. GPRS에서 회로는 여전히 음성(voice) 그리고 SMS (대부분의경우)를 전달합니다. 그러므로 코어 네트워크는 두 개의 도메인에서 구성됩니다. 바로 회로(Circuit) 그리고 패킷(Packet) 이렇게 두개죠.. (the core network is composed of two domains: circuit and packet.)
UMTS(3G)는 이 듀얼-도메인 컨셉은 코어네트워크 사이드에서도 유지되었습니다. 어떤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진화되었지면 컨셉은 매우 유사하게 남아있다는 점을 알아야합니다.
3G System의 진화를 디자인할때, 3GPP 커뮤니티는 IP(Internete Protocol) 을 사용하는 걸 결정했습니다. 바로 모든 서비스들을 전송하기 위한 핵심 프로토콜로 말이죠. 그것은 EPC가 더 이상 CS 도메인을 가지지 않을 것 그리고 EPC는 GPRS/UMTS에서 사용하는 PS 아키텍쳐로의 진화의 산물로써 되어야 한다는 것, 이 두 가지에 대해 동의를 하게된 셈입니다.
이 결정은
… 생략
Architecture of the EPC
EPC는 첫번쨰로 3GPP Release 8 표준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.
그것은 "flat architecture"를 갖기로 채택되었습니다. 그 아이디어는 성능 및 비용 관점에서 페이로드(데이터 트래픽)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. 트래픽 처리에 관여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거의 없으며 프로톹콜 변환이 방지됩니다. (avoid)
그것은 또한 user data (user plane) 와 signalling (control plane)을 를 분리하여 스케일링을 독립적으로 만들기로 결정되었습니다. 이 기능 분할 덕분에 오퍼레이터들은 네트워크를 쉽게 치수화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.
https://freewlan.tistory.com/235
최근 4G LTE와 관련된 글을 보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에 하나가 EPC와 EPS입니다. EPC는 Evolved Packet Core로 All-IP화 된 패킷 기반의 LTE 네트웍을 나타내는 말이구요, EPS는 Evolved Packet System으로 LTE 서비스를 위해 설치되는 시스템을을 말합니다.
일반적으로 EPC 네트웍에서는 3GPP에 의해 정의된 LTE가 아닌 non-3GPP 액세스 방식(Wi-Fi 혹은 WiMax)도 지원을 하게 되는데요,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 첫째, 3GPP의 커버리지를 보완하기 위해서입니다. 둘째, 3GPP 트래픽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. 셋째, FMC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입니다.
https://www.cisco.com/c/en/us/products/wireless/epdg-evolved-packet-data-gateway/index.html
The ePDG is responsible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EPC and untrusted non-3GPP networks that require secure access, such as a WiFi, LTE metro, and femtocell access networks.
ePDG는 WiFi, LTE 메트로 및 펨토셀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보안 액세스가 필요한 신뢰할 수없는 비 -3GPP 네트워크와 EPC 간의 연동을 담당합니다.
'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통신] Ringback tone (0) | 2021.06.10 |
---|---|
[정보통신] SRVCC(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) 란? (0) | 2021.05.20 |
ePDG(Evolved Packet Data Gateway) 장비란? (0) | 2021.04.05 |
WiFi Roaming (0) | 2021.0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