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작성중] NAS란
2021. 5. 31. 11:51NAS(Non-Access Stratum)
NAS는 EPS(Evolved Packet System)안에 있는 프로토콜의 집합체입니다. NAS는 LTE/E-UTRAN 엑세스를 위한 UE와 MME 사이의 non-radio 시그널링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여기서 MME는 Mobility Management Entity 고 UE는 User Equipment 입니다.
NAS
프로토콜 스택 관점으로부터 NAS는 제어 평면(control plane)에서의 가장 높은 stratum(층)입니다.
<그림>
NAS procedures는 두 개의 카테고리로 그룹화됩니다.
첫째, EMM (EPS Mobility Management)
둘째, ESM (EPS Session Management)
EPS Mobility Management
EMM 프로토콜은 E-UTRAN 엑세스 상에서의 모빌리티(이동성), 인증(authentication) 그리고 보안(security)와 연관되는 절차(procedure)를 말합니다. 그것은 GSM에서 EPS MM 그리고 GPRS에서 GMM과 동등합니다.
3GPP 사양은 EMM 공통, 특정 및 연결 관리 절차를 구분합니다. (EMM common, specific and connection management procedures.)
EMM common procedures (EMM 공통 절차)
EMM common procedures 은 다양한 network-initiated 메커니즘들을 말합니다. (network에서 발동된)
- GUTI (Global Unique Temporary ID) 재할당
- 인증 (Authentication)
- 보안 모드 제어
- Identification
- EMM information
EMM specific procedures (EMM 상세 절차)
EMM specific procedures 은 UE-initiated. 입니다. (UE에서 발동된)
이 절차들은 EPC로 혹은 EPC으로부터 attach/detach (접속/해제) 매커니즘을들을 정의합니다. 그것들은 또한 추적 지역 변경(Tracking Area Update, TAU) 메카니즘을 도입했습니다. 그 매커니즘은 네트워크 내에서 UE의 위치를 업데이트 합니다. TA (Tracking Area)는 GSM에서 EPS Location Area 그리고 GPRS에서의 Routing Area와 동등합니다.
EPS에서 UE가 새로운 TA로 들어갔음을 감지할 때 UE는 TAU (Tracking Area Update)를 시작합니다. EMM 상세 절차는 또한 주기적으로 TAU를 합니다.
<사진>
EPS는 또한 추적 지역 목록 (Tracking Area List, TAL)의 개념을 도입했습니다. 그것은 UE들의 TA의 목록의 제공하게 합니다.
.. 중략 담에할 것
'통신 > 3GP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3IWF/5G gNB 5G QOS의 구조 (0) | 2022.03.17 |
---|---|
[3GPP/TIP] TIP 모음 (0) | 2021.07.21 |
[TS 24.302] Access to the 3GPP Evolved Packet Core (EPC) via non-3GPP access networks (0) | 2021.06.21 |
[통신] Non-Access-Stratum (NAS) protocol for 5G System (5GS) (0) | 2021.06.10 |
LTE에서 베어러 (Bearer) 란, 가상의 개념이다. (0) | 2021.05.31 |